공지 |
<원문서비스> 이용방법
| 2014.10.18 | 2090 |
529 |
제42집, 현희, 낙인으로서의 강요된 이름 (II) - 독일 유대인 이름을 중심으로
| 2021.01.06 | 5 |
528 |
제42집, 최지영, 문법적 범주로서의 정도의 문제
| 2021.01.06 | 2 |
527 |
제42집, 주소정, 선행 외국어 학습 경험이 독일어 어휘의 의미추론 능력에 미치는 영향
| 2021.01.06 | 2 |
526 |
제42집, 정동규, 개념과 의미해석 - 즉흥조어를 중심으로
| 2021.01.06 | 5 |
525 |
제42집, 장영익, 영어 외래어의 성 할당 실태 연구 - 독일 여성 패션잡지에 나타나는 용어를 중심으로
| 2021.01.06 | 2 |
524 |
제42집, 임성우, 광고텍스트에서의 감정유표적 강조와 감성소구적 결속
| 2021.01.06 | 1 |
523 |
제42집, 박성철, 한국어와 독일어의 예에서 살펴본 ‘유사 신체화 성구’의 의미·화용론적 특징
| 2021.01.06 | 1 |
522 |
제42집, 권민재/유덕근/이미영/이해욱, input 최적화를 통한 사용기반 L2 교수학습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
| 2021.01.06 | 7 |
521 |
제41집, 이해육, 독일아동의 초기 논항구조발달
| 2020.07.06 | 22 |
520 |
제41집, 이미영, Dictogloss를 통한 다단어표현 지각 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
| 2020.07.06 | 8 |
519 |
제41집, 유시택, 독일어에서 연구개 비음의 자소표기
| 2020.07.06 | 9 |
518 |
제41집, 유덕근, 입력강화 방식을 통한 형태중심 언어학습 연구
| 2020.07.06 | 13 |
517 |
제40집, 이성은, 간접화행의 인지신경언어학적 이해모델
| 2020.01.06 | 16 |
516 |
제40집, 이미영, 성인 독일어 학습자의 말덩어리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
| 2020.01.06 | 13 |
515 |
제40집, 유시택, 독일어에서 동사부정형의 자소표기
| 2020.01.06 | 5 |
514 |
제40집, 성상환, 비교언어학의 원리와 외국어교육에 대한 제언 -독일어와 영어를 중심으로-
| 2020.01.06 | 19 |
513 |
제40집, 류수린/국지연/윤홍옥/정동규, 이동사건의 경로(path)와 공간관계 인지
| 2020.01.06 | 19 |
512 |
제40집, 구명철, 독일 법률언어의 형식기준에 대한 비판적 검토 - 능·수동문의 사용과 정보 배열의 문제를 중심으로
| 2020.01.06 | 12 |
511 |
제39집, 최명원, 인터넷 기반 온라인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모티콘과 문자 텍스트의 상호작용
| 2019.07.06 | 34 |
510 |
제39집, 이해욱, 입력 빈도 분포 유형이 독일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- 독일어 현재완료 구문과 부가어적 형용사 구문을 중심으로
| 2019.07.06 | 63 |